최대심박수 계산 방법 은 220-나이 입니다. 예를들어, 내 나이가 40이라고 한다면 220-40 = 180이 최대 심박수 입니다. 나이가 30세 라고 한다면 최대 심박수는 220-30 = 190 입니다.
최대심박수 계산
아래 연령 대 최대심박수는 이론상 계산에 의해서 정해진 심박수이기에 개인 차가 있겠습니다.
- 220 - 20세 -> 200
- 220 - 25세 -> 195
- 220 - 30세 -> 190
- 220 - 35세 -> 185
- 220 - 40세 -> 180
- 220 - 45세 -> 175
- 220 - 50세 -> 170
- 220 - 55세 -> 165
- 220 - 60세 -> 160
- 220 - 65세 -> 155
- 220 - 70세 -> 150
- 220 - 75세 -> 145
- 220 - 80세 -> 140
체중감량 이나 다이어트, 살빼려는 목적으로 유산소심박수 를 고려한다면 반드시 존2심박수를 생각해야합니다. 그래야 유산소운동 효과를 극대화 할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 존2심박수 = 최대심박수에서 60~70% 유지
- 예를들어, 최대심박수가 180 이라고 한다면 존2심박수는 108~126 입니다. (220-나이) * 0.6~0.7
- 해당 심박수에 맞는 페이스로 30분이상 달려줘야 합니다.
심박수 측정에 제일 간편한 것은 해당 기능이 있는 스마트 워치를 이용하는 것인데요. 스마트워치가 없어도 할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실제로 육상선수들이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손목을 지나는 요골동맥 맥박을 재는 것인데요.
오른손 잡이라면,
오른손으로 검지와 중지, 두개 손가락으로 왼손손목에 지긋이 눌러 1분간 맥박수를 측정하는 것인데요.
- 왼손잡이라고 한다면 반대로 하면 됩니다.
옆사람에게 10초 카운팅을 부탁하고, 본인은 10초 동안 맥박을 재는 것입니다. 여기에 곱하기 6을 하면 1분동안의 맥박수를 추정할 수가 있습니다. 10초 곱하기 6 = 60초 1분
- 옆사람이 없다면, 폰에 있는 스톱워치 기능을 이용합니다.
댓글